게릴라 콘서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릴라 콘서트'는 목표 인원수를 채우면 공연이 성사되는 방식으로 진행된 MBC의 예능 프로그램이다. 2000년 조성모를 시작으로 H.O.T., S.E.S., god, 핑클 등 많은 가수들이 출연하여, 2003년 성시경의 공연을 마지막으로 종영했다. 이 프로그램은 대중 참여형 예능의 선구자 역할을 했으며, 스타와 대중 간의 소통을 강화하고 지역 사회 활성화에도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리들의 일밤 - 유회승
유회승은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뮤지컬 배우이며, 《PRODUCE 101 시즌 2》에 출연하여 N.Flying의 메인 보컬로 데뷔, 솔로 활동과 뮤지컬 출연, 그리고 대한민국 대중음악상 최우수 OST 부문을 수상했다. - 우리들의 일밤 - 강인 (가수)
강인은 과거 슈퍼주니어 멤버로 활동하며 음악, 연기, 방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으나, 여러 논란으로 2019년 팀을 탈퇴한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배우이다. - 2000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가을동화
2000년 KBS에서 방영된 윤석호 감독의 멜로드라마 《가을동화》는 신생아실에서 바뀐 이름표로 운명이 뒤바뀐 준서와 은서가 재회하여 사랑에 빠지지만 비극적인 결말을 맞는 이야기로, 아름다운 영상미와 배우들의 열연으로 큰 인기를 얻으며 한류 확산에 기여한 작품이다. - 2000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당신 때문에
《당신 때문에》는 MBC에서 2000년에 방영된 드라마로, 30년 우정을 간직한 세 여고 동창생과 그 자녀들의 삶, 사랑, 결혼 이야기를 다루며 평범한 사람들의 진솔한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 2003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야인시대
《야인시대》는 일제강점기부터 근현대사를 배경으로 김좌진의 아들 김두한이 거지에서 종로패 두목, 국회의원이 되는 일대기를 그린 SBS 드라마이며, 청년 김두한 액션 장면과 심영의 "내가 고자라니" 대사로 큰 인기를 얻었다. - 2003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긴급구조 119
긴급구조 119는 119 소방공무원들의 구조 활동을 다룬 프로그램으로, 1994년부터 1999년까지, 2003년에 방송되었으며 소방 관련 인식 개선에 기여했다.
게릴라 콘서트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프로그램 정보 | |
방송명 | 게릴라 콘서트 |
장르 | 예능 |
방송 분량 | 30 ~ 50분 |
방송 기간 | 2000년 9월 24일 ~ 2003년 1월 12일 |
방송 횟수 | 67회 |
방송 국가 | 대한민국 |
방송 채널 | 문화방송 |
2. 진행 방식
목표 인원 수와 도시를 지정해 해당하는 도시를 찾아가 1시간 동안 길거리 홍보를 하고 목표 인원수를 넘기는 지에 따라 공연 여부가 결정된다.
wikitable
3. 역대 출연자
방송 일시 출연자 공연 장소 목표 인원수 실제 인원수[1] 성공 여부 비고 2000년 9월 24일 조성모 성남 분당중앙공원 5000명 5278명 성공 게릴라 콘서트 최초 성공자 2000년 10월 8일 핑클 일산 MBC 일산드림센터[2] 예정지 5000명 6317명 성공 2000년 10월 22일 H.O.T. 서울 보라매공원 10000명 11021명 성공 2000년 11월 12일 god 부산 해운대해수욕장 5000명 11406명 성공 2000년 11월 19일 강현수 안양 안양체육공원 5000명 4362명 실패 2,000명 미만시 은퇴 2000년 11월 26일 유승준 인천광역시청 앞 광장 5000명 8739명 성공 2000년 12월 3일 엄정화 광주 조선대학교 5000명 7736명 성공 2000년 12월 10일 세 친구 출연자들 수원 야외음악당 5000명 5141명 성공 2000년 12월 17일 컨츄리 꼬꼬 서울 대진고등학교 5000명 7865명 성공 2000년 12월 24일 핑클 · 유승준 서울 여의도공원 10000명 10093명 성공 2000년 12월 31일 박지윤 부천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 운동장 5000명 6925명 성공 2001년 1월 14일 S.E.S. 대구 계명대학교 대명캠퍼스 5000명 11745명 성공 2001년 1월 21일 태진아 부산 경남고등학교 5000명 취소 폭설로 인해 공연 취소 2001년 2월 4일 듀크 안양 대림대학교[5] 5000명 5024명 성공 2001년 2월 18일 차태현 울산 태화강 둔치 5000명 10979명 성공 2001년 2월 25일 이지훈 · 신혜성 전주 전북대학교 5000명 8507명 성공 2001년 3월 11일 DJ DOC 안산 화랑유원지 자동차극장[6] 5000명 5078명 성공 2001년 3월 18일 주영훈 강릉 경포해수욕장 5000명 4142명 실패 2001년 3월 25일 서경석 · 김장훈 · 이윤석 인천 인하대학교 운동장 10000명 11522명 성공 2001년 4월 1일 홍경민 성남 가천대학교 글로벌캠퍼스[7] 운동장 5000명 10302명 성공 2001년 4월 8일 김현정 울릉도 도동항 2000명 2106명 성공 역대 최악의 지역인
울릉도 인구의 20%를 모음2001년 4월 22일 샵 청주대학교 종합운동장 5000명 12405명 성공 동시 도전 샤크라 백석문화대학교[8] 운동장 8066명 2001년 5월 6일 싸이 원주 상지대학교 운동장 5000명
(남성 2500명)8642명
(남성 2719명)성공 2001년 5월 20일 이선희 부천중앙공원 5000명 9217명 성공 2001년 6월 10일 베이비복스 포항 해맞이공원 5000명 9364명 성공 공연장인 해맞이공원 주차장 외에
화단 및 계단 등 미집계 인원까지 합산시 15,000명 가량을 동원2001년 6월 17일 박진영 서울 여의도한강공원 5000명 7939명 성공 2001년 7월 29일 뉴 논스톱 출연자들 광주 전남대학교 운동장 5141명 7031명 성공 2001년 8월 19일 태진아 부산 부경대학교 대운동장 7000명 7562명 성공 재도전 2001년 9월 2일 룰라 대전 엑스포과학공원 남문광장 5000명 6299명 성공 2001년 9월 16일 강타 안동 낙동강 둔치 5000명 15874명 성공 2001년 9월 23일 신화 수원 경기대학교 10000명 11569명 성공 계단 등 미집계 인원까지 합산시 15,000명 가량을 동원 2001년 10월 7일 쿨 제주종합경기장 5000명 8127명 성공 2001년 10월 21일 윤도현밴드 전주대학교 대운동장 5000명 7913명 성공 2001년 11월 4일 클릭B 춘천 강원대학교 대운동장 10000명 7552명 실패 2001년 11월 11일 이현우 청주 충북대학교 5000명 7291명 성공 2001년 11월 18일 엄정화 제천 종합경기장 주차장 5000명 8217명 성공 2001년 11월 25일 김민종 대구 경북대학교 운동장 11000명 12103명 성공 2001년 12월 16일 뮤지컬 가스펠 출연자들 익산 원광대학교 운동장 5000명 8311명 성공 2001년 12월 23일 GOD 수원월드컵경기장 16000명 18521명 성공 역대 최다 인원, 태극기 지참자만 집계 2001년 12월 30일 이정현 포항 해맞이 광장 2002명 2117명 성공 2002년 1월 6일 최진영 인천대학교 대운동장 5000명 3517명 실패 2002년 1월 13일 장나라 전남 목포유달경기장 5000명 17502명 성공 2002년 1월 20일 양희은 마산 실내체육관 5000명 7182명 성공 2002년 1월 27일 김장훈 구미대교 12000명 13748명 성공 2002년 2월 3일 캔 충주 체육관 공터 5000명 5489명 성공 2002년 2월 10일 설운도 거제시 공설운동장 5000명 9716명 성공 2002년 2월 17일 JTL 원주 공설야구장[9] 10000명 12133명 성공 2002년 2월 24일 김종서 군산월명종합운동장 야구장 5000명 6547명 성공 2002년 3월 3일 김정민 천안종합운동장 보조경기장 5000명 74817777772명 성공 2002년 3월 10일 이수영 평택 종합운동장 5000명 8364명 성공 2002년 3월 17일 신승훈 광주월드컵경기장 주차장 10000명 12837명 성공 2002년 3월 24일 S.E.S. 대구대학교 경산캠퍼스 대운동장 5000명 8223명 성공 2002년 3월 31일 강수지 춘천 강원대학교 대운동장 5000명 3714명 실패 2002년 4월 7일 김현철 · 윤상 수원 아주대학교 대운동장 5000명 3178명 실패 2002년 4월 14일 코요태 전주비전대학교[10] 대운동장 5000명 6271명 성공 2002년 4월 21일 이영자 군산대학교[11] 대운동장 5000명 7391명 성공 2002년 4월 28일 컨츄리 꼬꼬 원주 상지대학교 대운동장 5000명 6397명 성공 2002년 5월 5일 보아 안산 화랑유원지 자동차극장[6] 5000명 12638명 성공 2002년 5월 12일 박경림 청주 충북대학교 5000명 14274명 성공 2002년 5월 19일 포지션 부천종합운동장 5000명 6249명 성공 2002년 6월 2일 J 일산 미관광장 5000명 6173명 성공 2002년 7월 14일 클론 구미시민운동장 5000명 13749명 성공 2002년 7월 28일 김자옥 ·오승근 평택 효명고등학교 5000명 11000명(추산) 성공 2003년 1월 5일 비 연성대학교[12] 대운동장 6000명 5387명 실패 2003년 1월 12일 성시경 안동 낙동강 둔치 5000명 5107명 성공 마지막 방송
3. 1. 2000년
2000년 9월 24일, 조성모가 성남 분당중앙공원에서 5,278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게릴라 콘서트 최초로 성공했다.[1] 10월 8일에는 핑클이 일산 MBC 일산드림센터 예정지에서 6,317명을 동원하며 성공했다.[2] 10월 22일 H.O.T.는 서울 보라매공원에서 최초로 10,000명 목표에 도전하여 11,021명을 기록하며 성공했으나, MC 스케줄 문제로 공연 시작이 지연되고 관객수 카운팅 누락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일밤 측이 공식 사과문을 게재하기도 했다.[3]
11월 12일 god는 부산 해운대해수욕장에서 11,406명을 동원하며 성공했으나,[1] 11월 19일 강현수는 안양 안양체육공원에서 목표 인원수 5,000명에 미치지 못하는 4,362명을 기록하여 실패했다.[1]
이후 11월 26일 유승준이 인천광역시청 앞 광장에서 8,739명,[1] 12월 3일 엄정화가 광주 조선대학교에서 7,736명,[1] 12월 10일 세 친구 출연자들이 수원 야외음악당에서 5,141명,[1] 12월 17일 컨츄리 꼬꼬가 서울 대진고등학교에서 7,865명,[1] 12월 24일 핑클·유승준이 서울 여의도공원에서 10,093명,[1] 12월 31일 박지윤이 부천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 운동장에서 6,925명을 동원하며 성공했다.[1]
3. 2. 2001년
2001년 1월 14일, S.E.S.는 대구 계명대학교 대명캠퍼스에서 게릴라 콘서트를 열어 11,745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성공했다. 이는 2001년부터 더욱 엄격해진 제도(당일 아침 장소 결정, 당일 아침부터 이동식 무대 설치, 홍보 시간 10시간으로 단축, 시민단체의 인원 체크제 도입) 도입 후 최초의 성공 사례이자, 최초로 1만 명을 돌파한 기록이다. 또한, 여성 그룹 최초이자 유일하게 단독 도전으로 1만 명을 돌파한 기록이기도 하다. 당시 방송은 TNS 조사 기준 전체 시청률 23.2%를 기록했으며, 순간 최고 시청률은 40.1%를 기록했다. 이는 역대 게릴라 콘서트 순간 시청률 1위이며, 2000년대 이후 역대 MBC 예능 순간 최고 시청률 2위에 해당한다. 집계되지 않은 인원까지 포함하면 17,000명에서 20,000명 이상의 관객이 동원된 것으로 추산된다.
태진아는 2001년 1월 21일 부산 경남고등학교에서 공연을 열 예정이었으나 폭설로 인해 취소되었다.[1] 이후 2001년 8월 19일 부산 부경대학교 대운동장에서 재도전하여 7,562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성공했다.[1]
듀크는 2001년 2월 4일 안양 대림대학교에서 5,024명,[1] 차태현은 2001년 2월 18일 울산 태화강 둔치에서 10,979명,[1] 이지훈과 신혜성은 2001년 2월 25일 전주 전북대학교에서 8,507명을[1] 동원하며 성공했다. DJ DOC는 2001년 3월 11일 안산 화랑유원지 자동차극장에서 5,078명을[1] 동원했다.
주영훈은 2001년 3월 18일 강릉 경포해수욕장에서 공연을 펼쳤으나 4,142명으로[1] 실패했다. 서경석, 김장훈, 이윤석은 2001년 3월 25일 인천 인하대학교 운동장에서 11,522명을[1] 동원하며 성공했다. 홍경민은 2001년 4월 1일 성남 가천대학교 글로벌캠퍼스 운동장에서 10,302명을[1], 김현정은 2001년 4월 8일 울릉도 도동항에서 2,106명을[1] 동원했다.
2001년 4월 22일, 샵은 청주대학교 종합운동장에서 12,405명,[1] 샤크라는 백석문화대학교 운동장에서 8,066명을[1] 동원하며 동시 도전에 성공했다. 싸이는 2001년 5월 6일 원주 상지대학교 운동장에서 남성 2,719명을 포함한 8,642명을[1] 동원했다. 이선희는 2001년 5월 20일 부천중앙공원에서 9,217명,[1] 베이비복스는 2001년 6월 10일 포항 해맞이공원에서 미집계 인원 포함 15,000여 명을 동원했다.[1]
박진영은 2001년 7월 29일 서울 여의도한강공원에서 7,939명,[1] 뉴 논스톱 출연자들은 광주 전남대학교 운동장에서 7,031명을[1] 동원하며 성공했다. 룰라는 2001년 9월 2일 대전 엑스포과학공원 남문광장에서 6,299명,[1] 강타는 2001년 9월 16일 안동 낙동강 둔치에서 15,874명을[1] 동원했다. 신화는 2001년 9월 23일 수원 경기대학교에서 미집계 인원 포함 15,000여 명을[1] 동원했다.
쿨은 2001년 10월 7일 제주종합경기장에서 8,127명,[1] 윤도현밴드는 2001년 10월 21일 전주대학교 대운동장에서 7,913명을[1] 동원했다. 클릭B는 2001년 11월 4일 춘천 강원대학교 대운동장에서 공연을 펼쳤으나 7,552명으로[1] 실패했다.
이현우는 2001년 11월 11일 청주 충북대학교에서 7,291명,[1] 엄정화는 2001년 11월 18일 제천 종합경기장 주차장에서 8,217명,[1] 김민종은 2001년 11월 25일 대구 경북대학교 운동장에서 12,103명을[1] 동원했다. 뮤지컬 가스펠 출연자들은 2001년 12월 16일 익산 원광대학교 운동장에서 8,311명,[1] GOD는 2001년 12월 23일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태극기 지참자만 집계하여 18,521명,[1] 이정현은 2001년 12월 30일 포항 해맞이 광장에서 2,117명을[1] 기록하며 성공했다.
3. 3. 2002년
2002년에는 여러 가수들이 게릴라 콘서트에 도전하여 다양한 결과를 얻었다.[1] 2002년 1월 13일 장나라는 전남 목포유달경기장에서 17,502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성공했다.[1] 1월 27일 김장훈은 구미대교에서 13,748명을 모아 성공했다.[1] 3월 17일 신승훈은 광주월드컵경기장 주차장에서 12,837명을 기록하며 성공을 거두었다.[1] S.E.S.는 3월 24일 대구대학교 경산캠퍼스 대운동장에서 열린 콘서트에서 8,223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여성 그룹으로는 유일하게 단독으로 2회 도전하여 성공했다.[1] 특히 S.E.S.는 지하철 안과 역 구내에서만 1시간 동안 홍보를 진행하고, 지하철 티켓을 제시해야만 입장 가능하게 하는 등 제한적인 조건 속에서도 성공을 거두었다.[1]
5월 5일 보아는 안산 화랑유원지 자동차극장에서 12,638명을 모으며 성공했고,[1][6] 5월 12일 박경림은 청주 충북대학교에서 14,274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다.[1] 7월 14일 클론은 구미시민운동장에서 13,749명을 모아 성공했다.[1]
반면, 1월 6일 최진영은 인천대학교 대운동장에서 3,517명을 기록하여 실패했고,[1] 3월 31일 강수지는 춘천 강원대학교 대운동장에서 3,714명으로 실패했다.[1] 4월 7일 김현철과 윤상은 수원 아주대학교 대운동장에서 3,178명으로 실패를 경험했다.[1]
3. 4. 2003년
2003년 1월 5일, 비는 연성대학교[12] 대운동장에서 6000명을 목표로 게릴라 콘서트를 열었으나, 5387명이 모여 실패했다.[1] 1월 12일에는 성시경이 안동 낙동강 둔치에서 5000명을 목표로 공연을 열었고, 5107명이 모여 성공하며 게릴라 콘서트의 마지막 방송을 장식했다.[1]
방송 일시 | 출연자 | 공연 장소 | 목표 인원수 | 실제 인원수[1] | 성공 여부 | 비고 |
---|---|---|---|---|---|---|
2003년 1월 5일 | 비 | 연성대학교[12] 대운동장 | 6000명 | 5387명 | 실패 | |
2003년 1월 12일 | 성시경 | 안동 낙동강 둔치 | 5000명 | 5107명 | 성공 | 마지막 방송 |
4. 논란 및 비판
4. 1. H.O.T. 공연 관련 논란
4. 2. 이영자 출연 무산 관련 논란
2001년 다이어트 파문으로 활동을 중단한 이영자가 해당 코너에 출연하여 방송 출연 재개를 타진했으나[13] 무산된 바 있다.5. 사회문화적 영향
5. 1. 대중 참여형 예능의 선구자
5. 2. 스타와 대중 간 소통 강화
5. 3. 지역 사회 활성화 기여
참조
[1]
문서
관객 집계 기준
[2]
문서
준공 연도
[3]
문서
공연 지연 및 관객 집계 문제
[4]
문서
시청률 기록 출처
[5]
문서
방영 당시 대림대학
[6]
문서
폐업 및 합동분향소 설치
[7]
문서
방영 당시 경원대학교
[8]
문서
방영 당시 천안외국어대학
[9]
문서
철거 연도
[10]
문서
방영 당시 전주공업대학
[11]
문서
방영 당시 군산대학
[12]
문서
방영 당시 안양과학대학
[13]
뉴스
방송]이영자 “당분간 활동않겠다”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7-06-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